본문 바로가기

河水盆

숏스퀴즈(Short Squeeze), 감마스퀴즈(Gamma Squeeze)

. 숏스퀴즈(Short Squeeze), 감마스퀴즈(Gamma Squeeze)는 주식시장의 급격한 변동성 유발

. 스퀴즈 (Squeeze): 쥐어짜다, 짜내다
  시장 참여자들이 포지션을 강제로 정리하거나 헤지 활동으로, 매수 또는 매도 압력이 급격히 쏠려 가격이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현상
  (강제적인 대응으로 인해 가격 변동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현상) 

감마 스퀴즈와 숏 스퀴즈의 차이 (기초자산에 상호 연쇄 반응)

  감마스퀴즈 숏스퀴즈
시장 옵션 시장에서 시작 주식 시장에서 시작
원인 옵션 매도로 인한 시장 조성자의 기초자산 매수 공매도 포지션의 강제 청산
영향 시장 조성자의 헤지 활동으로 주가 상승 공매도자의 커버링으로 주가 상승
주체 옵션 매수자와 시장 조성자 공매도 투자자



* 숏 스퀴즈 (Short Squeeze) *
공매도(Short Selling)가 과도하게 쌓인 상태에서 주가가 급등할 때
공매도 투자자들이 손실을 막기 위해 대규모로 숏커버링(매수)을 하면서 주가가 급등하는 현상. 
'스퀴즈(Squeeze)'라는 표현은 공매도 세력이 압박(짜내기)을 받는 상황

. 진행 과정
 - 주가 상승으로 공매도 투자자 손실 위험 감지
 - 손실 방지를 위한 숏커버링 시작
 - 숏커버링을 위한 매수가 추가 주가 상승 유발
 - 주가 상승 → 추가 커버링 → 추가 상승의 순환 발생

. 특징
 단기간의 급격한 주가 상승,  거래량의 폭발적 증가,  극단적 가격변동성


* 숏커버링(Short Covering) *
  공매도(Short Selling)한 투자자가 해당 공매도 포지션을 청산하기 위해 주식을 다시 매수하는 과정

. 작동과정
 - 공매도(Short Selling) : 주가하락을 예상하고 투자자가 주식을 차입하여 매도
 - 청산 : 차입주식 상환을 위해 매수 & 반환

. 발생상황
- 자발적 커버링 :목표수익 달성, 투자전략변경, 위험관리
- 강제커버링 : 주가상승으로 인한 손실확대 우려 시 --> 숏스퀴즈(Short Squeeze)로 전개

. 시장영향
 - 가격상승압력 : 대규모 숏커버링은 주가급등 유발
 - 변동성 증가 : 급격한 매수세로 인한 가격 변동성 확대, 다른 투자자들의 추종매수

. 숏커버링과 숏 스퀴즈의 차이
- 숏커버링은 공매도 투자자가 포지션을 청산하기 위해 주식을 다시 매수하는 과정
- 숏 스퀴즈는 공매도가 과도하게 많고 주가가 급등할 때 
  공매도 투자자들이 동시에 숏커버링에 나서면서 주가가 폭발적으로 상승하는 현상


* 감마스퀴즈(Gamma Squeeze) *
 주식 가격이 급격히 상승할 때 옵션 매도자들이 위험을 헤지하기 위해 주식을 더 많이 매수하면서, 
 주가가 더욱 상승하는 현상

. 감마(Gamma)란?
  감마는 옵션의 델타(Delta)가 기초 자산 가격 변동에 따라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민감도.
  델타(Delta): 옵션 가격이 기초 자산 가격 변동에 얼마나 반응하는지 측정
  감마는 델타의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로, 주가 변동이 클수록 감마의 영향력이 커짐.

. 작동원리
 - 특정 종목의 콜옵션 매수세가 급증
- 옵션 매도자들은 델타헤지를 위해  매수 필요
- 주가 상승으로 의 델타/감마값이 증가
- 헤지를 위한 추가 주식 매수가 필요, 이로 인한 추가적인 주가 상승
- 주가 상승 → 감마 증가 → 헤지 매수 → 추가 주가 상승의 순환(감마스퀴즈)

 

 . 왜 감마스퀴즈인가?
 - 감마가 높을수록 주가가 움직일 때 델타가 크게 변하므로,

   시장 조성자(Market Maker)는 델타헷지를 위해 더 많은 기초 자산을 매수(혹은 매도)해야 함.

   주가가 행사 가격 근처로 다가갈수록 델타가 급격히 변하기 때문에,

   감마의 영향력이 커지고, 매수(또는 매도) 압력이 폭발적으로 증가

   즉 따라서 이 현상을 주도하는 핵심 요인이 "감마"이기 때문에 감마스퀴즈라고 부름.


. 감마 스퀴즈 예측을 위한 지표 및 분석
 - 옵션 거래량: 
   특정 주식의 콜옵션 거래량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감마 스퀴즈 가능성이 높아짐. 
   특히 OTM(Out of the Money, 외가격 옵션, 옵션을 수행해봐야 손해가 나는 옵션) 옵션 거래량이 급증한다면 더욱 주목.
    : OTM 옵션은 가격이 저렴하여 대량 매수되기 쉬운데, 이는 델타 헷지 과정을 통해 감마스퀴즈를 유발할 가능성을 높임.
      특히, OTM 옵션의 감마가 크기 때문에 주가가 행사 가격에 가까워질수록

 

       델타 헷지 매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주가가 급등할 수 있음.

 - 델타: 
   옵션의 델타는 주가 변동에 따른 옵션 가격 변동 민감도를 나타냄. 
   특정 주식의 델타가 높고, 많은 투자자들이 콜옵션을 매수하고 있다면 감마 스퀴즈 가능성이 높아짐.

 - 감마: 
    델타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감마는 감마 스퀴즈를 예측하는 데 가장 직접적인 지표. 
    감마가 높을수록 주가 변동에 대한 옵션 가격의 민감도가 높아져 감마 스퀴즈 발생 가능성이 커짐.

 - 기관 투자자들의 움직임: 
    헤지펀드나 대형 투자 기관들의 옵션 포지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면 감마 스퀴즈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
    시장 변동성: 시장 전체의 변동성이 높아지고, 특정 종목에 대한 관심이 집중될 때 감마 스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델타헤지(Delta Hedge) *
  옵션 거래에서 포지션의 가격 변동 위험(델타 리스크)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스크 관리 전략

  '델타'는 기초자산 가격 변화에 따른 옵션 가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지표, 
     콜 옵션: 0에서 1 사이의 값
     풋 옵션: -1에서 0 사이의 값

ex) 콜 옵션의 델타가 0.5라면, 기초 자산의 가격이 1단위 상승할 때 옵션의 가격은 약 0.5 단위 상승

. 델타 중립(Delta Neutral): 
   포트폴리오의 전체 델타를 0으로 맞추는 상태
   이를 통해 기초 자산 가격 변동에 따른 손익 변동을 최소화.

. 콜옵션 매도자의 델타헷지 과정 예시
   A라는 주식이 현재 100달러이고, 델타가 0.5인 콜옵션을 매도했다고 가정

   - 초기 델타헤지: 델타가 0.5이므로, 콜옵션 매도자는 옵션 매도시 0.5주의 A 주식을 매수하여 포지션을 중립으로 유지

   - 동적 델타헤지 : 주가 상승 (120달러로 상승):
      주가가 상승하면 콜옵션의 델타도 0.7로 증가.
      옵션 매도자는 새로 변한 델타에 맞추기 위해 추가로 0.2주를 더 매수해야 함.
     --> 결과: 주가가 상승할수록 매도자는 계속 더 많은 주식을 매수해야 하며, 
              이 과정이 반복되면 감마스퀴즈가 발생가능성 높아 짐.

'河水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tion 전략  (0) 2025.05.04
VIX (CBOE Volatility IndeX)  (0) 2025.01.31
E-mini S&P 500 option Symbol 해석  (0) 2024.11.11